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obbang의 기록/전력공학4

[쀼의 전기기사]전압을 높이면 전력손실, 전압강하가 줄어들어 좋은데, 왜 우리집에서는 무한정 전압을 높이지 않고 220V만 쓸까??? 안녕하세요~ 쀼의 로그입니다. 오늘은 전압을 높이면 전력손실도 줄고 전압강하도 줄어드는 등 장점이 많은데 왜 무한정 높이지 않고 220V 전압을 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한정 전압을 높이게 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절연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절연이란 전압에 견디는 정도를 말합니다. 한전 철탑의 전선은 위 그림과 같이 보통 2회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좌측 1회선, 우측 1회선 총 2회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선은 (피복 + 도체)로 되어 있습니다. 케이블은 (피복 + 절연체 + 도체)로 되어 있습니다. 코드는 기계, 기구용 전선을 말합니다. 전압이 높다는 말은 전선이 뜨겁다는 말이고 다가가기 힘들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전압이 높아지게 되면 절연을 해야합니다. 1. 이격(절연의 기본.. 2022. 3. 29.
우리에게 다양한 전압이 필요한 이유? 154kV, 345kV,765kV(특고압)이렇게 높은 전압을 쓰는 이유?/송전할때 특고압 쓰는 이유/승압이유[쀼의 전력공학] 안녕하세요~ 쀼의 로그입니다. 오늘은 우리에게 다양한 전압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력 ( P) = 전압 ( V ) X 전류 ( I ) 입니다. 우리나라가 산업화를 거치며 점점 발전하게되고 그에 따라 자연스레 국가 전체적으로 사용전력도 엄청나게 증가하게 됩니다. P ↑ = V(일정) X I ↑ 한전에서 공급하는 전력은 일정하기 때문에 전력을 높이려면 전류를 많이 흘려주어야 됩니다. 전류를 많이 흐르게 하려면 전선이 굵어야 합니다. 굵은 전선을 사용해야 하겠죠. 전선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전류의 한도를 허용전류라고 하는데 예를 들면 2mm 굵기 의 전선의 허용전류는 37A 입니다. 신규설비는 새로 굵은 전선을 사용하면 되는데 기존에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2022. 3. 8.
[쀼의 전기기사]전력공학 첫번째 선로정수(feat. R(저항)) [쀼의 전력공학]/전기가 흐르면서 손실이 생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쀼의 로그입니다. 오늘은 전력공학에서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는 선로정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선로정수의 역할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번 포스팅에서 전기가 흐르면서 성질이 바뀐다고 이야기 한 적이 있는데요. 발전소에서 만든 양질의 전기가 부하까지 그대로 가야지 중간에 성질이 바뀐다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주로 전압강하, 전력손실로 인해 전기의 성질이 바뀌게 됩니다. 이러한 것들의 원인이 바로 선로정수 입니다. 선로를 타고 흐르는 전기의 성질에 변화가 생기며 (이 변화는 전기가 선로를 타고 흐르면 필연적으로 생기는 것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R, L, C, G라는 선로정수가 생기게 됩니다. 이 R, L, C, G로 인해 전기의 성질이 처음 발전소에서 만들었을때와는 다르게.. 2022. 3. 7.
[쀼의 전기기사]전력공학 기초, 기본개념, 공칭전압, 3상4선식 Y결선 안녕하세요~ 쀼의 로그입니다. 먼저 전기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전기는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기적인 성질이 변하게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보통 물이 흐르는 관을 예로 듭니다. 물은 전류가되고, 관은 전선이 되고,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마찰이 있습니다. 물 = 전류 관 = 전선 관 내부 마찰 = 물의 흐름을 방해 = 저항 이러한 이유로 전력을 공급하면 전압강하, 전력손실은 무조건 발생하게 됩니다. 전압강하 Vd 전력손실 P d = drop, l = loss 자연상태에서 저항이 '0'이 되는 일은 없습니다. 모든 물질은 저항이 있습니다.(cf.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이 낮아집니다.) loss 라는 것은 전기에너지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즉, 힘이 약해지는 것입니다. (ex. 가정집에서 분전반 -.. 2022. 3. 6.
728x90
반응형